전체 글 (20) 썸네일형 리스트형 영국의 대처리즘과 MTV 시대 개막의 상관관계 영국의 대처리즘과 MTV 시대 개막의 상관관계 영국은 IMF 외환위기를 벗어나기는 했지만 서민들은 여전히 경기 불황에 허덕이고 있었기 때문에 대처 수상은 영국병의 산물인 저생산성 구조를 극복하기 위해서 공기업을 민영화하는 강력한 조치를 강행했습니다. 민간의 자율적인 경제 활동을 장려하기 위함이었는데요. 수차례의 노동법이 개조되면서 노조의 반대가 극심해졌고요. 또 영국의 대처 정부는 노조와의 대결에서 강경 대응으로 일관해 갔습니다. 84년 효율성이 낮은 탄광을 통폐합하고 대규모의 감원 조치에 탄광 노조가 총파업을 감행한 것은 매우 유명한 일화죠. 영국병이라는 것은요. 그 '요람에서 무덤까지'라는 슬로건에서 볼 수 있듯이 직업과 연령에 상관없이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국가 주도형 영국의 복지 모델을 말하는데.. 디스코의 등장과 국제화 디스코의 등장과 국제화 디스코 하면 떠오르는 것은 화려한 무늬의 셔츠라든가 뾰족구두에 타이트한 나팔바지 그리고 원색의 양복이나 원피스를 입은 청년들이 나이트클럽에 모여서 춤추는 장면 같은 것들이죠. 지난 2020년 여름 코로나 팬데믹이 한창이던 시기에 BTS가 밝고 경쾌한 레트로풍의 디스코 팝 분위기를 담은 '다이너마이트'를 발표했었죠. 뮤직비디오만 보더라도 전체적으로 따뜻한 색감을 담아서 코로나 19로 힘든 시기를 겪고 있을 팬들에게 희망과 활력을 전파하고 싶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면서 전 세계 팬들을 매료시켰습니다. 뮤직비디오를 보면요. 전국의 방 벽에는 73년에 발표된 데이비드 보위의 Aladdin Sane 포스터와 80년대 영화인 터미네이터의 주인공이었던 아널드 슈워제네거의 포스터가 보이고요. 또 R.. 1990년대 미국의 얼터너티브 록 1990년대 미국의 얼터너티브 록 1970년대 후반에 미국은 굉장히 어둡고 허무주의적이며 폭력적인 요소들을 음악에 새롭게 조합하려는 펑크의 움직임이 자리 잡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1960년대에 화려한 연주 실력을 뽐냈던 영웅적인 기타리스트들의 솜씨를 포기하는 대신 누구나 할 수 있다는 DIY 선언을 통해서 60년대의 반체제 문화가 지향했던 모든 것을 전복했던 시기였죠. 이후 1980년대 레이건은 자신의 경제 개혁 프로그램을 미국의 새로운 시장, 경기 회복을 위한 프로그램이라고 말했는데요. 이것이 바로 1980년대에 시작된 '레이거노믹스'였습니다. 즉, 침체된 경제를 재활성화해서 강한 미국 재건을 꿈꾼다, 이런 국가 정책을 기조로 하는데요. 이를 위해서 레이건 대통령은 정부 지출을 삭감하고 감세 정책을 실.. 이전 1 2 3 4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