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크 음악 등장 시기와 특징
포크 음악 팬들이 아주 많을 것 같은데요. 포크 음악은 가사도 아름답고 사운드도 예뻐서 귀에 아주 잘 들어오죠? 포크란 무슨 뜻일까요? 포크란 오래전부터 구전되어 왔던 민중의 음악, 곧 민요를 뜻합니다. 한국에도 창이나 판소리가 있고 또 스위스에도 요들송과 같은 민요도 있고요. 이렇게 각 나라마다 유명한 포크 음악이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포크라고 하면 미국의 민요, 아메리칸 포크로 한정된 개념으로 쓰입니다. 이런 포크가 대중음악으로 싹튼 것은 1929년 무렵 미국의 대공황 시기였습니다. 대공황기에 가장 큰 어려움을 겪었던 사람들은 철도 노동자나 광부와 같은 노동자들이었거든요. 경제적으로 피폐해진 이들은 자본과 제도권에 반감을 갖게 되었고 자신들의 가난이 결국 사회구조와 체제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점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포크는 이런 분위기에서 태동한 음악입니다.
계몽 수단으로써의 포크 장르
1930, 40년대 미국의 급진파들은 대공황에 의한 빈곤에 저항하는 과정에서 구전되고 있었던 민요들을 탐구했는데요. 민요는 상업주의에 편승하지 않은 순수한 공동체 문화를 계승하고 있는 대표적인 문화였기 때문입니다. 이때부터 포크 음악은 미국 민중의 현실을 반영하는 음악이자 부조리한 현실을 계몽하는 수단으로 자리잡기 시작했습니다. 이런 공황기에 구체화된 포크 음악이 1950년대 말 1960년대 초반쯤 모던 포크로 재탄생해서 포크 붐을 맞이하게 됩니다. 한국에서도 피터 폴 앤 메리, 킹스턴 트리오, 브라더스 포 등이 인기 있는 포크 뮤지션으로 통하는데요. 이 뮤지션들은 저항적 포크, 프로테스트 포크를 전면에 내세우지는 않았지만 비주류 음악이었던 포크를 대중음악계의 주류에 세우는 데 기여하면서 모던 포크의 대가로 꼽히는 그룹이 되었습니다. 특히 1930, 40년대 포크의 대부로 통하는 우디 거스리와 피터 시거의 노동자와 농민을 주체로 한 포크 전통을 계승했다는 의미도 큰 가치를 부여할 만합니다. 19년대 초반 미국의 대학가를 중심으로 퍼지고 있었던 포크 음악은 백인의 전통 음악이 컨트리와 잘 구별되지 않습니다. 포크와 컨트리는 같은 뿌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곡조나 스타일도 상당히 유사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포크와 컨트리는 악기 구성에서 결정적인 차이를 보입니다. 포크는 최신식 악기, 즉 증폭 악기를 쓰지 않는다는 점에서 그런데요. 또 피아노와 같이 부르주아 가정에만 있을 법한 악기도 쓰지 않고요. 또 일렉트릭 악기 같은 속물적이고 상업적인 악기도 거부했습니다. 포크의 악기 구성이라고 해 봐야 고작 통기타나 하모니카와 같은 어쿠스틱뿐입니다. 이는 포크 특유의 순수성 이데올로기에 기반한 이유이기 때문인데요.
악기가 단출한 포크 음악
어쿠스틱 소리가 진실한 노래와 투명한 메시지 전달에 더 적합하다고 믿었기 때문입니다. 록 음악에 비해 이렇게 악기가 단출하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요? 음악의 중심을 보컬에 둔다는 의미이죠. 노래를 부르는 사람에게 무게 중심을 더 둔다는 말입니다. 그래서 부르기도 쉽고 듣기에도 편한 음악이 바로 포크입니다. 결국 포크 음악은 가사의 비중이 크다는 것을 전제할 수밖에 없죠. 그랬던 탓에 포크의 가사는 낭만적이라기보다는 세상을 바라보는 청년들의 메시지를 담아내는 것을 주요 수단으로 삼습니다. 또한 컨트리 음악의 가사가 낭만적이고 추상적인 데 비해서 포크의 가사는 묘사가 구체적이고 현실에 밀착된 내용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도 구분됩니다. 포크의 주체는 바로 민중이기 때문이죠. 그런 탓에 현실 중에서도 괴로운 현실, 즉 고된 노동의 현장이나 불평등한 인권, 평화에 반하는 정부의 전쟁 욕망 등 사회적 고발의 내용을 주된 내용으로 합니다. 우디 거스리나 피터 시거의 모던 포크가 휴머니즘과 서정성에 기반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특징이 있다면, 60년대 초반에는 현실 비판적인 사회적 메시지의 전달력이 보다 강화됩니다. 이때 출현한 유명 포크 뮤지션이 바로 밥 딜런과 존 바에즈라고 할 수 있습니다.
'포크 음악, 펑크 음악, 미국 음악 역사, 대중 음악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히피문화의 쇠락과 후대 영향 (0) | 2022.07.27 |
---|---|
한국에서 포크운동의 몰락과 포크 음악이 던진 메시지 (0) | 2022.07.27 |
한국에서의 포크 음악 역사 (0) | 2022.07.26 |
1970년대의 펑크 록의 세계관(펑크락 등장배경) (0) | 2022.07.26 |
1960년대 포크 장르 음악의 인기와 밥 딜런 (0) | 2022.07.26 |